top of page

Research Publications

Journal Articles

  • Oh, P. S., Ha, H.*, & Maeng, S. (2025). Threshold practices as a key in supporting students’ epistemic agency in the science classroom.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, 42(1), 128–146.

  • Oh, P. S., & Ha, H.* (2025). Sensemaking as a goal of science education, abduction as a process of scientific sensemaking.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, 62, 1425–1451.

  • 하희수, 오필석* (2024). 역사과학 주제의 탐구 활동에서 풍부한 내러티브의 특징. 한국과학교육학회지, 44(6), 591–602.

  • Ha, H.*, Chen, Y. –C., & Park, J. (2024). Teacher Strategies to Support Student Navigation of Uncertainty: Considering the Dynamic Nature of Scientific Uncertainty Throughout Phases of Sensemaking. Science Education, 108, 890–928.

  • Ha, H.*, Park, J., & Chen, Y. –C. (2024). Conceptualizing phases of sensemaking as a trajevtory for grasping better understanding: Coordinating student scientific uncertainty as a pedagogical resource.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, 54, 359–391.

  • Ha, H.* (2024). Student development of sensemaking questions about ecological phenomena: A case of making sense of ants in the schoolyard. EASE Letters, 3(2), 283–295.

  • 하희수* (2023). 중학생의 센스메이킹 설계에서 개념적 이해는 어떻게 활용되는가? -질문 고안과 조사 과정 설계에서 논의된 인식적 준거를 중심으로-. 한국과학교육학회지, 43(6), 495–507.

  • 이민주, 하희수* (2023). 전문가 사사 R&E에서 과학영재의 행위주체적 연구 참여를 지원하는 교수적 특성-교수자와 학생의 위치짓기를 중심으로-. 한국과학교육학회지, 43(4), 351–368.

  • Lee, G. –G., & Ha, H.* (2024). Multi-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for factors affecting science achieve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COVID-19: Based on 2018-2020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data.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, 46(3), 281–312.

  • Ha, H.*, & Choi, Y. (2023). Supporting student use of ecological concepts in field-based modeling of ecological phenomena.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, 21, 2215–2235.

  • 하희수, 최윤희 (2023). 생태계 현상에 대한 실증적 모델링 활동의 맥락에서 중학생의 인식적 행위주체성을 지원하는 교수 전략. 생물교육, 51(1), 94–113.

  • Ha, H., Park, W.*, & Song, J. (2022).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’ socioscientific reasoning during a decision-making activity in the context of COVID-19. Science & Education, 32, 1869–1886.

  • Ha, H.* (2022). Knowledge for whom? Inviting students to establish an audience of knowledge and shape their own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in a biology course.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, 52, 1851–1868.

  • Ha, H.*, & Kim, H. –B. (2022). How a marginalized student’s attempts to position himself as an accepted member are constrained or afforded in small-group argumentation.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, 17, 915–935.

  • Ha, H., & Ha, M.* (2022). Exploring Korean scientists’ perceptions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education for scientific creativity.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, 44(11), 1767–1791.

  • Oh, P. S., Ha, H.*, Yoo, Y. J. (2022). Epistemological messages in a modeling-based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compared with a traditional classroom. Science Education, 106, 797–829.

  • 하희수, 최윤희* (2022). 생태계에 관한 실증적 모형 구성 활동에서 생산적인 참여를 위해 활용되는 개념적‧인식적 자원 탐색. 생물교육, 50(2), 155–171.

  • 하희수, 황효정, 박지원, 하민수* (2022). 대학 연구 공동체의 사회적‧재정적 구조에 대한 이공계 학문후속세대의 인식 및 과학교육에 대한 제언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22(8), 1–16.

  • 하희수, 하민수* (2022). 중등 과학교육에서 학생의 인식적 행위주체성 측정 문항 개발. 생물교육, 50(1), 81–89.

  • 하희수, 이경건*, 홍훈기 (2022). 2018학년도 대학 신입생의 진학 전형에 영향을 미친 요인: 수시 및 정시 전형을 중심으로. 교육문제연구, 35(1), 167–192.

  • Ha, H., & Kim, H. –B.* (2021) Framing oneself and one another as collaborative contributors in small group argumentation in a science classroom.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, 19, 517–537.

  • 하희수* (2021). 초등 예비교사가 인식적 행위주체로서 고안한 생명과학 관련 지식 구성 활동의 인식적 목표 및 특성 탐색. 한국과학교육학회지, 41(1), 47–57.

  • 하희수* (2021). 코로나19 확산에 관한 과학 관련 사회·윤리적 쟁점에 관한 이해관계자 중심의 의사결정 교수학습 활동 개발 및 예비교사 교육에의 적용. 생물교육, 49(3), 336–349.

  • 하희수* (2021). 청중의 도출을 통한 예비교사의 인식적 행위주체성 촉진 지식 구성 활동의 개발. 생물교육, 49(1), 29–41.

  • 하희수, 하민수* (2021). 생명과학 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조언으로부터 본 과학자에게 필요한 핵심역량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21(1), 1407–1426.

  • 최원정, 하희수, 김희백* (2021). 유전에 관한 모형구성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 전환과 모형 정교화 탐색. 생물교육, 49(2), 251–265.

  • 하희수, 강은희, 김희백* (2020). 탐구 수업 설계 강좌에서 예비 중등 과학 교사의 위치짓기와 인식적 이해 탐색. 한국과학교육학회지, 40(3), 307–320.

  • 하희수, 김희백* (2019). 학생 중심의 과학 학습 공동체 이해를 위한 행위주체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. 한국과학교육학회지, 39(1), 101–113.

  • 조한빛, 하희수, 김희백* (2019). 소집단 논변활동에서 협력적 성찰의 역할 탐색 -학생들의 인식적 고려와 실행을 중심으로-. 한국과학교육학회지, 39(1), 1–12.

  • Ha, H.*, & Kim, H. –B. (2018). Argumentation activity about the sense of vibration: Prediction-observation-explanation strategy based on the resources perspective.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Journal, 80(9), 669–674.

  • 하희수, 이차은, 김희백* (2018).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모형 구성 활동에서 드러난 개념 특성의 변화 및 변화 지원 요인 탐색. 생물교육, 46(3), 300–317.

  • 하희수, 이영미, 김희백* (2018). 소집단 논변 활동 후 전체 논의에서 이루어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과 인식론적 프레이밍 탐색. 한국과학교육학회지, 38(1), 11–26.

  • 이경건, 하희수, 홍훈기*, 김희백 (2018). 머신 러닝을 활용한 과학 논변 구성 요소 코딩 자동화 가능성 탐색 연구. 한국과학교육학회지, 38(2), 219–234.

  • 정은진, 이영미, 하희수, 조한빛, 김희백* (2017).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활동에 의한 학생들의 개념 구성 지원 가능성 탐색. 생물교육, 45(3), 371–389.

  • 하희수, 김희백* (2017). 소집단 논변 활동에서 반응적 교수법이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에 미치는 영향 탐색. 한국과학교육학회지, 37(1), 63–75.

Book

  • 김희백, 하희수, 이영미, 이신영 (2019). 과학 논변활동을 위한 반응적 교수. 북스힐.

Conference paper

  • Ha, H., & Kim, H. –B. (2018). Responsive teaching activating students’ epistemological resources in small group argumentation. In Finlayson, O., McLoughlin, E., Erduran, S., & Childs, P. (Eds.), Electronic Proceedings of the ESERA 2017 Conference. Research, Practice and Collaboration in Science Education, Part 3 (co-ed. Fechner, S., & Tiberghien, A.), (pp. 497-508). Dublin, Ireland: Dublin City University.

Report

  • 김희백, 강남호, 김명화, 맹승호, 박종석, 백윤수, 손정우, 심규철, 오필석, 이기영, 이봉우, 정은영, 한인식, 하희수, 한화정. (2017).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사업 최종보고서.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-BD18020011.

Contact

Email: hsha@pusan.ac.kr

Tel: (+82) 51-510-2688

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, College of Education,

Pusan National University

#204, Biology Building, 2, Busandaehak-ro 63beon-gil, Geumjeong-gu, Busan, 46241

Republic of Korea

bottom of page